다루는 내용
- S3를 통한 아카이빙
- Glacier를 통한 아카이빙
실습
S3를 통한 아카이빙
S3에 arang-lab이라는 버킷이 생성되어 있다.
- 폴더 생성
backup1, backup2 폴더를 생성한다. - Lifecycle 적용 (backup1 폴더)1) Properties 클릭2) Lifecycle 클릭3) Add rule 클릭4) Apply the Rule to :· A Prefix 선택· backup1/ 입력 (반드시 폴더명 뒤에 ‘/’를 입력한다.)5) Configure Rule 클릭6) Action on Objects· Archive to the Glacier Storage Class 선택· Days after the object’s creation data : 0입력7) Transitioning Smaller Objects to Glacier May Increase Costs· I acknowledge that the Archive to Glacier Storage Class Lifecycle rule I am setting up will likely increase my storage costs. 체크
(S3에 있는 파일을 Glacier에 저장할 때 메타데이터를 추가하므로 256KB보다 작은 파일을 아카이빙하면 오히려 비용이 더 발생할 수 있다는 메시지)8) Review 클릭9) Rule Name : backup1 입력10) Create and Activate Rule 클릭 - Lifecycle 적용 (backup2 폴더)
Days after the object’s creation data : 1입력 - 파일 업로드1) backup1, backup2 폴더에 파일 업로드
동일한 파일을 동일 시각에 업로드한다.
예. Last Modified: Mon Sep 07 10:29:21 GMT+900 2015 - 확인아카이빙은 비동기로 발생한다. 정확히 정해진 시각에 아카이빙 되는 것은 아니다.· 0일로 설정한 backup1 : 약 40시간 후에 아카이빙되었다.· 1일로 설정한 backup2 : 50시간이 지난 현재도 아카이빙되지 않았다.
- 복원1) 아카이빙된 파일 우클릭2) Initiate Restore 클릭3) days : 1입력
입력 값은 아카이빙되어 있는 파일을 restore(access 가능) 상태로 유지할 기간이다.4) OK 클릭5) 확인
해당 파일의 Properties를 보면 ‘Restoration in progress‘ 상태이다. 약 3-5시간 후에 access 가능하다.
restore가 완료되면 상태가 변경되며, access 가능하다. - 참고툴http://s3browser.com/3rd-party 툴을 이용하여 손쉽게 적용할 수도 있다.
Glacier를 통한 아카이빙
기본 개념
- 아카이브(Archive) : Glacier에 저장된 객체. 각 아카이브들은 고유한 ID를 가진다.
- 볼트(Vault) : 아카이브들의 컨테이너(디렉토리)
- 볼트 인벤토리(Vault Inventory) : 아카이브 목록 및 메타데이터
- 반출, 검색(Retrieval) : 아카이브를 다운로드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작업
볼트 생성
- 콘솔에서 Glacier 클릭
- Get started 클릭
- Step 1: Vault Name 페이지에서1) Region : us-west-22) Vault Name : sampleVault 입력3) Next Step 클릭
- Step 2: Event Notifications 페이지에서1) Enable notifications and create a new SNS topic 선택2) Next Step 클릭
- Step 3: Event Notification Details 페이지에서1) Topic Name : sampleGlacier 입력2) Display Name : Glacier Job 입력3) Archive Retrieval Jop Complete : 체크4) Vault Inventory Retrieval Job Complete : 체크5) Next Step 클릭
- Step 4: Review 페이지에서1) submit 클릭
SNS 설정
볼트 생성 과정에서 알림을 위해 SNS Topic를 만들었지만, Topic의 Suscriptions을 만들지 않았다.
- 콘솔에서 SNS 클릭
- 왼쪽 메뉴에서 Topics 클릭
- sampleGlacier 토픽의 ARN 클릭
- Create Subscription 클릭1) Protocol : Email 선택2) Endpoint : arang@gsneotek.co.kr 입력3) Create Subscription 클릭
- 메일 검증
Display name으로 입력한 값이 메일의 from값이 되어 메일이 발송된다.
Confirm Subscription을 클릭하여 유효한 메일 임을 알린다. - 확인
파일 아카이빙 (볼트에 파일 업로드)
현재 AWS 콘솔에서는 Glacier의 Vault에 파일 읽기, 쓰기 작업을 할 수 없다. 아카이브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SDK(JAVA, .NET) 혹은 CLI를 이용해야한다. 여기서는 CLI를 이용한다.
- 아카이브 업로드
볼트를 생성한 후 최초 아카이브를 하게되면 24시간이 지나야 Inventory 정보가 업데이트된다.
파일 다운로드
- 인벤토리 반출
- 작업 상태 확인
InProgress 상태이며, 3-5시간 후에 반출 작업이 완료되면 SNS를 통해 알림 메일이 발송된다. - 결과 확인
get-job-output으로 JobId의 인벤토리 반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· output.json 파일ArchiveID가 포함된 리스트이다. - 아카이브 반출
반출할 ArchiveID를 포함하여 job-archive-retrieval.json 파일을 만든다.
PolicyEnforcedException 에러가 발생하면 Data Retrieval Policy를 수정한다. - 작업 상태 확인
- 아카이브 다운로드
인벤토리 반출 결과를 출력하는 것과 동일하게 get-job-output을 이용하여 아카이브를 다운로드한다. - 참고툴
http://fastglacier.com/
참고
※ http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mazonS3/latest/dev/object-lifecycle-mgmt.html
※ http://docs.aws.amazon.com/cli/latest/reference/glacier/index.html
'Cloud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mazon AWS :: LVM으로 EBS 관리하기 (0) | 2015.11.14 |
---|---|
Amazon AWS Elastic file system [ EFS ] 시작 (0) | 2015.11.14 |
Amazon AWS 가격정책 가이드 (0) | 2015.11.14 |
Amazon AWS MEDIA CUSTOMER DAY 발표자료 공유 (0) | 2015.11.14 |
Amazon AWS MACHINE LEARNING 소개 (0) | 2015.11.14 |